helm
-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다 보면 수많은 템플릿을 관리해야 하는데 이 때 헬름을 통해 쉽게 관리할 수 있다.
- 헬름은 템플릿 파일들의 집합을 관리하는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 도구이다.
- 차트와 차트 압축 파일을 만들고, 차트가 저장된 차트 저장소와 연결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차트를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헬름을 이용하면 잘 정리된 차트들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chart: 쿠버네티스에서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 묶음
config: 패키지한 차트에 넣어서 배포 가능한 오브젝트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설정.
release: 특정 config를 이용해 실행 중인 차트의 인스턴스.
헬름 클라이언트와 틸러 서버
- 헬름은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인 헬름 클라이언트와 헬름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받아 쿠버네티스 api와 통신하는 틸러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 헬름 클라이언트는 틸러 서버와 gRPC를 이용해 통신한다.
헬름 클라이언트
- 헬름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로컬 서버에서 차트를 만들고 차트 저장소를 관리할 수 있다.
- 틸러 서버와 통신하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설치하려는 차트를 보낼 수 있다.
틸러 서버
- 주로 헬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대기하다가 요청이 오면 클러스터에 실행할 릴리즈를 만들려고 차트와 설정을 조합하거나 클러스터에 차트를 설치하거나 릴리즈를 관리한다.
헬름 차트의 구조
- 헬름에서 사용하는 차트는 디렉터리 하나에 포함된 파일들의 집합이다.
- 디렉터리 이름을 차트로 지정하고 그 안에 필요한 파일들을 넣는다.
차트 기본 구조 만들기
helm create sample
디렉터리 구조 확인하기
tree sample
헬름 차트 수정해 사용하기
helm fetch stable/mysql
tar zxcf mysql-1.6.9.tgz
- mysql 차트를 다운로드 한다.
- 다운로드한 mysql 차트 파일 압축을 푼다.
차트 내용 확인하기
tree [차트 이름]
- 수정할 파일은 values.yaml과 Chart.yaml이다.
- mysqlRootPassword를 1234로 수정하였다.
- version을 0.1.0으로 수정하였다.
helm 명령어
helm repo list
- 헬름 차트 저장소 목록을 확인한다.
helm search
- 사용할 수 있는 차트들을 확인한다.
728x90
반응형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Ingress를 이용하여 Jenkins 구축 (0) | 2024.08.05 |
---|---|
[Kubernetes] 쿠버네티스 구조 (0) | 2024.07.29 |
[Kubernete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구조와 컴포넌트 (0) | 2024.07.22 |
[Kubernetes] EmptyDir Volume (0) | 2024.07.15 |
[kubernetes] PV, PVC란? (0)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