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이 설치되어 있다면 [3. 로컬에서 kube config를 통해 환경 설정하기]부터 보면 된다.
1. wsl 설치하기
- Window의 경우 kubectl를 사용하기 위해 wsl를 설치한다.
wsl --install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고.
Microservice store 확인
- 위의 microserivce store에서 ubuntu들 열어준다.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4032d
Error: 0x8004032d (null)
Press any key to continue...
- 그럼 보통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window에서 hyper-v를 활성화 해줘야 한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virtualization/hyper-v-on-windows/quick-start/enable-hyper-v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Hyper-V -All
- powershell을 관리자로 열어 hyper-v를 활성화 해준다.
- *재부팅*
2. kubectl 설치하기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
- 다시 microservice store에서 ubuntu를 열어준다.
- 위의 명령을 통해 kubectl 바이너리를 설치한다.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 /usr/local/bin/kubectl
- 위의 명령을 통해 kubectl를 설치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 해당 명령을 통해 kebectl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3. 로컬에서 kube config를 통해 환경 설정하기
cat ~/.kube/config
- /kube/config의 내용을 확인한다.
- 위와 같이 apiserver, client-key-data, client-certificate-data 등의 내용이 나오게 된다. 모든 내용을 복사해서
- 내 로컬의 /kube/config에 붙어넣는다.
아래와 같이 로컬에서 외부 클러스터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CI/CD구성하기(Jenkins, ArgoCD, Gitea, Harbor) #2 Jenkins, Gitea 연동 (0) | 2024.08.13 |
---|---|
[Kubernetes] CI/CD구성하기(Jenkins, ArgoCD, Gitea, Harbor) #1 배포 (0) | 2024.08.12 |
[Kubernetes] Ingress를 이용하여 Jenkins 구축 (0) | 2024.08.05 |
[Kubernetes] 쿠버네티스 구조 (0) | 2024.07.29 |
[Kubernetes] helm이란?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