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스테이징 파일 제거
- 코드를 수정하고 푸쉬하기 위해서는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한다.
- 이때 파일을 잘못 추가하였다면 스테이징된 파일을 제거해야 한다.
git reset [취소할 파일명]
스테이징된 파일 확인하기
- 스테이징된 파일을 제거하였다면 제대로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당 명령어를 사용한다.
- 이 명령어는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파일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빨간색 글씨는 변경사항이 아직 스테이징 않은 상태의 파일들이다.
git status
이제 다시 원하는 파일을 추가하고, 커밋한다음 push하면 된다.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커밋할 내용"
git push origin main
TMI
- node_modules 파일의 경우 따로 git에 push를 하지 않아도 된다.
- package.json, pachage-lock.json 파일만 있어도 나중에 npm install로 node_modules를 생성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원격 저장소 설정하기 (0) | 2024.08.29 |
---|---|
[Git] 깃허브(Github)에 로컬 저장소(Repository)연결.feat(VSCode) (2)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