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외부 MySQL 서버 관리
Linux는 대부분 명령어 모드만 사용하기 때문에 MySQL 툴인 Workbench를 사용할 수 없다.
Linux 컴퓨터에 설치된 MySQL 서버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해야 된다.
1. Linux 컴퓨터의 방화벽에서 MySQL 포트인 3306번을 허용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2. Linux 컴퓨터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3. Windows 컴퓨터의 Workbench에서 Linux 컴퓨터로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가장 먼저 해당 Linux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Workbench에서 리눅스에 연결할 계정을 만든다.
Hostname을 기존 127.0.0.1에서 리눅스 ip인 192.168.52.132로 수정한다.
WorkBench에서 만든 계정을 해당 리눅스에서 들어가게 되면 연동이 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3 사용자 관리
MySQL 관리자인 root로 접속해서 사용했지만 실무에서 MySQL을 혼자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게 별도의 권한을 부여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다음 입력되는 호스트 부분은 localhost와 %로 나뉘게 되는데 접속할 수 있는 ip의 차이이다.
localhost의 경우 내부 ip만 접속 가능하고 %의 경우 외부 ip에서 접속 가능하다.
권한 부여
GRANT는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이다.
PRIVILEGES는 특정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후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PRIVILEGES의 종류로는 총 12가지가 있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TRUNCATE, REFERENCES, TRIGGER, CREATE, CONNECT, TEMPORARY, EXECUTE, USAGE
모든 DB에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특정 DB에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특정 DB에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권한 부여 이후 권한을 적용시켜야 한다.
권한 부여를 확인하는 명령어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Database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MySQL이다. [Chapter 7 - SQL 고급(데이터 형식, 변수, 내장함수)] (0) | 2024.03.09 |
---|---|
이것이 MySQL이다. [Chapter 6 - SQL 기본(SELECT문, SQL문, CTE)] (0) | 2024.03.03 |
이것이 MySQL이다. [Chapter 4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0) | 2024.03.03 |
이것이 MySQL이다. [Chapter 3 - MySQL 전체 운영 실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절차, 테이블, 인덱스, 뷰] (0) | 2024.03.03 |
이것이 MySQL이다. [Chapter 1 - DBMS와 MySQL 소개] (0) | 202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