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법과 진법 변환
데이터의 표현
법정 증거로 사용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 이해 필수.
디지털 정보의 단위
1 nibble = 4 bits
1 byte = 8 bits
1 byte = 1문자(character), 영어 1 byte, 한글 2byte
1 word(워드), 워드의 길이는 8, 16, 32, 64비트 등 8의 배수가 가능.
기수
진법을 나타내는 기본 수.
EX) 기수가 2이면 2진법
2진수 -> 10진수 변환
2진수 101101.101를 10진수로 변환 해보기
정답 45.625
8진수 -> 10진수 변환
8진수 364.35를 10진수로 변환해보기
정답 244.453125
16진수 -> 10진수로 변환
16진수 A3.D2를 16진수로 변환해보기
정답 163.8203125
10진수 -> 2진수 변환
10진수 75.6875를 2진수로 변환해보기
정답 1001011.1011
10진수 -> 8진수 변환
10진수 75.6875를 8진수로 변환해보기
정답 113.54
10진수 -> 16진수 변환
10진수 75.6875를 16진수로 변환해보기
정답 4B.B
2진수 -> 8진수 변환
2진수 1001011.1011를 8진수로 변환해보기
2진수 -> 16진수 변환
2진수 1001011.1011를 16진수로 변환해보기
연습 문제
10진수 48.8125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여라.
정답 2진수 110000.1101, 8진수 60.64, 16진수 30.D
2진수 10010010.011를 4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여라.
정답 4진수 2102.5, 8진수 222.3, 16진수 92.6
정수 표현
고정 소수점 수
Fixed point number: 정수
소수점을 표현하지 않음.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
부동 소수점 수
Floating point number: 실수
소수점 표현
부호와 절댓값
부호비트: 양수와 음수를 표현.
나머지 비트: 절대값 표현
EX)
13 - 10 = 3, => 1101 - 1010 = 0011
13 + 10 = 23, => 1101 + 1010 = 10110
존 형식
1 byte를 한 단위로 10진수 한 자리 표현
존 영역은 항상 1111로 표시
부호는 최하위 byte의 존 영역에 표시
양수일 경우 C(1100), 음수일 경우 D(1101), 부호없는 양수일 경우 F(1111)
팩 형식
1 byte에 10진수 두 자리 표현
부호는 최하위 byte의 하위 4비트에 표시
양수일 경우 C(1100), 음수일 경우 D(1101), 부호없는 양수일 경우 F(1111)
실수 표현
IEEE 754 표현
부호, 지수, 가수 세 영역으로 표시
부호: 양수와 음수
지수: 2의 지수
가수: 소수점 이하 부분
종류: 단정도 부동소수점수, 배정도 부동소수점수
연습 문제
1/256을 단정도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라
'School > 디지털 포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포렌식 연습문제 기말 (0) | 2024.06.08 |
---|---|
디지털 포렌식 연습 중간고사 과제 모음 (0) | 2024.04.19 |
디지털 포렌식 3주차 (0) | 2024.04.18 |
디지털 포렌식 5주차 (0) | 2024.04.18 |
디지털 포렌식 1주차 (0) | 2024.04.17 |